육아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원인, 발생통계, 예방안내 및 대처방법

남편&아내 간호사 2025. 1. 21. 13:19

영아 돌연사 증후군(Infant Sudden Death Syndrome, SIDS)은 생후 1년 이내의 아기가 잠자는 동안 원인 불명의 이유로 사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고요한 사망이라고 불리며 끊임없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아기를 키우는 부모님 입장에서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 글을 통해 영아 돌연사 증후군에 대해 잘 알고 대처하면 좋겠습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이란

영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은 주로 생후 2~4개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1세 이전의 영아가 갑자기 사망했고 부검과 현장 조사, 과거력을 조사했음에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 발생통계

 

우리나라의 영아 돌연사 증후군 발생률

1996년에 출생아 1,000명당 0.31

2005~2022년까지는 출생아 1,000명당 0.20명 내외로 발생

 

   일본의 영아 돌연사 증후군 발생률

1990년대까지는 출생아 1,000명당 0.4

2019년에는 0.1건으로 감소 추세를 보임

 

   미국의 영아 돌연사 증후군 발생률

1992년 이전에는 출생아 1,000명당 1.3~1.4건으로 높음

'똑바로 눕혀 재우기 캠페인'이 시행되었고, 그 이후 발생률이 급격히 감소

 

1990년대 이후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서도 아기를 똑바로 눕혀 재우기를 권장하면서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병태생리

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사망한 영아를 연구해 본 결과 호흡을 담당하는 연수 발달에 문제가 있거나 이 부분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 위험 요인

아기를 엎어 재우는 것은 영아돌연사증후군의 주된 위험 요소입니다. 대개 똑바로 누워서 자던 아기가 엎드려 있는 모습으로 사망한 채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 예방 방법

●  똑바로 눕혀 재우기

똑바로 눕혀 재우는 것이 옆으로 재우는 것보다 영아돌연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2배 정도 낮다고 합니다. 또한 똑바로 눕혀 재우는 아기가 다른 아기들에 비해 더 건강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아기 침대 위에는 가급적 아무것도 놓지 않기

혹시 아기가 용을 쓰거나 움직이면서 얼굴을 덮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아기 침대, 요를 따로 사용하기

아기가 부모와 함께 침대나 이불을 쓰는 경우 본인도 모르는 사이 수면 중에 아기를 덮을 수 있거나 신체 일부분을 누를수 있기 때문입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은 아기의 갑작스러운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부모와 보호자는 아기의 안전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