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걷기 시작하고 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뒤덮여 있는 시기이죠. 하지만 이 시기에는 면역력이 아직 완벽하지 않아 여러 질병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요로감염'입니다. 요로감염은 세균이 요로에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돌 아기에게도 꽤 흔하게 발생합니다. 오늘은 돌 아기 요로감염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출발!
1. 돌 아기 요로감염, 왜 생기는 걸까요?
요로감염은 주로 대장균과 같은 세균이 항문 주변에서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침투하면서 발생합니다. 특히 돌 아기들은 기저귀를 차고 있어 습한 환경에 쉽게 노출이 되어있고 배변 후 깨끗하게 닦아주지 않으면 세균 번식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또한, 아직 스스로 소변을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소변을 오래 참는 경우에도 요로감염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2. 우리 아기, 혹시 요로감염? 증상을 확인해보세요!
돌 아기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요로감염 증상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요로감염을 의심해보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원인 모를 발열: 갑자기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면서 다른 감기 증상은 없는 경우
- 소변 변화: 소변을 자주 보거나 소변량을 줄거나 소변 색깔이 탁하고 냄새가 심한 경우 혹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혈뇨)
- 배뇨 시 통증: 소변을 볼 때 아파하거나 울면서 보는 경우
- 복부 통증: 배를 만지면 아파하거나 불편해하는 경우
- 식욕부진과 보챔
3. 요로감염, 어떻게 진단할까요?
요로감염은 소변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소변검사는 소변 내 백혈구, 세균, 염증 물질 등을 확인하여 요로감염 여부를 판단합니다.
- 소변 채취: 돌 아기의 경우 소변을 직접 받기 어려워 소변 주머니를 이용하여 채취합니다.
- 소변 검사: 채취한 소변을 요검사와 소변 배양 검사를 실시합니다.
- 추가 검사: 필요에 따라 신장 초음파, 방광 요관 역류 검사 등을 통해 요로계의 구조적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저는 둘째가 100일이 되던 날 소변 채취를 한 적이 있습니다. 어린 아기에게 소변 주머니로 채취하는 경우 기저귀를 꼭 벗기고 실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저귀를 차고 있으면 소변 주머니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생각보다 소변주머니가 완벽히 피부와 고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4. 요로감염,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요로감염은 항생제 치료를 통해 세균 감염을 치료합니다.
- 경구 항생제: 대부분 경구 항생제를 복용하여 치료
- 주사 항생제: 증상이 심하거나 경구 항생제 복용이 어려운 경우 IV를 통해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수분 섭취를 늘려서 소변량을 늘리고 세균을 배출시킵니다.
- 안정: 충분한 휴식과 열이 있으면 해열제를 복용합니다.
5. 요로감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요로감염은 위생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기저귀 교체: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고 배변 후에는 물로 깨끗하게 닦아줍니다. 이때 앞에서 뒤로 닦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소변 훈련: 아이가 소변을 참지 않고 규칙적으로 배뇨하도록 반복 훈련을 합니다.
- 통풍: 바람이 잘 통하는 옷을 입히고 기저귀를 갈때 요도 주변 습기를 줄일 수 있도록 약한 바람으로 말려줍니다.
6. 요로감염,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요?
- 돌 아기의 원인 모를 발열
- 소변 변화
- 배뇨 시 통증
- 복부 통증
기침, 콧물, 가래 같은 상기도 감염 증상이 없고 위의 증상을 보인다면 100%는 아니지만 요로감염을 의심하고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고열이 지속되거나 아이의 컨디션이 떨어지는 경우 응급실을 방문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마무리
돌 아기의 요로감염은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면 대부분 완치됩니다. 하지만 치료가 늦어지면 신장에 손상을 줄 수도 있으므로 아이의 상태를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부모님께서 아이의 위생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한다면 요로감염은 충분히 예방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꿀잠 비법! 아기 안깨게 하는 5가지 필수 팁 (초보 부모 필독) (0) | 2025.01.30 |
---|---|
아기 열, 해열제는 언제 줘야 할까? (0) | 2025.01.27 |
아기 침독, 속 시원하게 해결하는 방법!(처방 연고, 치료기간 후기) (0) | 2025.01.24 |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원인, 발생통계, 예방안내 및 대처방법 (0) | 2025.01.21 |
메타뉴모바이러스: 증상, 치료, 어린이집 등원여부, 중국 유행 바이러스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