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돌 아기 요로감염, 혹시 우리아이도? 증상과 예방법까지 꼼꼼히 알려드려요!

남편&아내 간호사 2025. 1. 25. 23:41

막 걷기 시작하고 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뒤덮여 있는 시기이죠. 하지만 이 시기에는 면역력이 아직 완벽하지 않아 여러 질병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요로감염'입니다. 요로감염은 세균이 요로에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돌 아기에게도 꽤 흔하게 발생합니다. 오늘은 돌 아기 요로감염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출발!

 

1. 돌 아기 요로감염, 왜 생기는 걸까요?

요로계-해부학

 

요로감염은 주로 대장균과 같은 세균이 항문 주변에서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침투하면서 발생합니다. 특히 돌 아기들은 기저귀를 차고 있어 습한 환경에 쉽게 노출이 되어있고 배변 후 깨끗하게 닦아주지 않으면 세균 번식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또한, 아직 스스로 소변을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소변을 오래 참는 경우에도 요로감염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2. 우리 아기, 혹시 요로감염? 증상을 확인해보세요!

돌 아기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요로감염 증상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요로감염을 의심해보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원인 모를 발열: 갑자기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면서 다른 감기 증상은 없는 경우
  • 소변 변화: 소변을 자주 보거나 소변량을 줄거나 소변 색깔이 탁하고 냄새가 심한 경우 혹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혈뇨)
  • 배뇨 시 통증: 소변을 볼 때 아파하거나 울면서 보는 경우
  • 복부 통증: 배를 만지면 아파하거나 불편해하는 경우
  • 식욕부진과 보챔

 

3. 요로감염, 어떻게 진단할까요?

 

요로감염은 소변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소변검사는 소변 내 백혈구, 세균, 염증 물질 등을 확인하여 요로감염 여부를 판단합니다.

  • 소변 채취: 돌 아기의 경우 소변을 직접 받기 어려워 소변 주머니를 이용하여 채취합니다.
  • 소변 검사: 채취한 소변을 요검사와 소변 배양 검사를 실시합니다.
  • 추가 검사: 필요에 따라 신장 초음파, 방광 요관 역류 검사 등을 통해 요로계의 구조적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저는 둘째가 100일이 되던 날 소변 채취를 한 적이 있습니다. 어린 아기에게 소변 주머니로 채취하는 경우 기저귀를 꼭 벗기고 실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저귀를 차고 있으면 소변 주머니의 고정상태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생각보다 소변주머니가 완벽히 피부와 고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4. 요로감염,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요로감염 수액-치료

 

요로감염은 항생제 치료를 통해 세균 감염을 치료합니다.

  • 경구 항생제: 대부분 경구 항생제를 복용하여 치료
  • 주사 항생제: 증상이 심하거나 경구 항생제 복용이 어려운 경우 IV를 통해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수분 섭취를 늘려서 소변량을 늘리고 세균을 배출시킵니다.
  • 안정: 충분한 휴식과 열이 있으면 해열제를 복용합니다.

 

5. 요로감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요로감염은 위생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기저귀 교체: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고 배변 후에는 물로 깨끗하게 닦아줍니다. 이때 앞에서 뒤로 닦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소변 훈련: 아이가 소변을 참지 않고 규칙적으로 배뇨하도록 반복 훈련을 합니다.
  • 통풍: 바람이 잘 통하는 옷을 입히고 기저귀를 갈때 요도 주변 습기를 줄일 수 있도록 약한 바람으로 말려줍니다.

 

6. 요로감염,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요?

  • 돌 아기의 원인 모를 발열
  • 소변 변화
  • 배뇨 시 통증
  • 복부 통증

기침, 콧물, 가래 같은 상기도 감염 증상이 없고 위의 증상을 보인다면 100%는 아니지만 요로감염을 의심하고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고열이 지속되거나 아이의 컨디션이 떨어지는 경우 응급실을 방문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마무리

돌 아기의 요로감염은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면 대부분 완치됩니다. 하지만 치료가 늦어지면 신장에 손상을 줄 수도 있으므로 아이의 상태를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부모님께서 아이의 위생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한다면 요로감염은 충분히 예방 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