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에서 올해 소아 감염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그중에 특히 메타뉴모바이러스가 가장 유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보건당국에서는 중국과 인도에서 확산하고 있는 메타뉴모바이러스에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가장 유행할 것으로 전망되는 메타뉴모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타뉴모바이러스란?
메타뉴모바이러스란 조류 바이러스, 사람 바이러스로 나뉩니다.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우리가 부르는 메타뉴모바이러스는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human metapneumovirus, hMPV) 입니다. 약 200년 전에 조류 메타뉴모바이러스에서 진화하여 사람에게 전파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001년 네덜란드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대개 감기와 유사한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메타뉴모바이러스 감염경로
대부분의 바이러스와 같은 방식으로 전파됩니다.
1. 호흡기 비말을 통한 직접 전파
2.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이나 오염된 물건의 접촉을 통한 간접전파
메타뉴모바이러스 증상
잠복기는 4~6일이며 발열, 기침, 코막힘 등 호흡기 관련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성인의 경우 무증상 또는 경미한 상기도 감염 증상이 대부분이지만 중증 폐렴까지도 진행할 수 있으며,
소아의 경우 급성 중이염, 후두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기도 감염까지 일으킬 수 있으나 RSV, influenza보다는 경미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보통 증상은 경미하게 1~2주 내로 완화되지만 경우 어린이의 경우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니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메타뉴모바이러스 진단/검사
PCR 검사를 통한 메타뉴모바이러스를 검출하여 진단합니다.
메타뉴모바이러스 치료
메타뉴모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가 없으므로 대증치료에 중점을 둡니다.
ex. 해열제, 기침억제제, 진해거담제, 항히스타민제 등
어린이집, 유치원 등원 가능 여부(전염 기간)
영유아가 있는 부모님들께서 가장 궁금해하실 내용입니다. 우선 메타뉴모바이러스는 4급 감염병으로 격리 의무는 없습니다. 하지만 전염력이 높기 때문에 가정 보육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전염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상이 있는 기간은 전파 가능성이 높으므로 등원은 불가합니다.
증상이 발현되고 5일 ~ 2주 기간에 걸쳐 바이러스가 배출되는데 어린이의 경우 3주까지도 메타뉴모바이러스를 배출할 수 있습니다.
예방수칙
올바른 손 씻기
기침 예절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다중밀집 장소는 피하고 마스크 항시 착용 유지
마치며
질병청에 따르면 메타뉴모바이러스는 어린이와 노약자에게 매년 일정 수준으로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라고 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메타뉴모바이러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중국에서 유행 중인 메타뉴모바이러스 병원체 검출률 증가에 유의미할만 한 특이사항은 없다고 했다. 그러므로 예방수칙을 잘 지켜서 펜데믹 없이 무사히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침독, 속 시원하게 해결하는 방법!(처방 연고, 치료기간 후기) (0) | 2025.01.24 |
---|---|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원인, 발생통계, 예방안내 및 대처방법 (0) | 2025.01.21 |
소아 철 결핍성 빈혈: 원인, 증상, 페리틴(ferritin)수치, 치료 (0) | 2025.01.15 |
B형 독감 완벽 가이드: 증상부터 치료, 예방까지! (0) | 2025.01.12 |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이란? 원인, 전염성, 증상, 치료방법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