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아데노바이러스란? : 증상, 감염경로, 치료, 어린이집 등원여부

남편&아내 간호사 2025. 1. 9. 14:12

아데노바이러스란? 

아데노바이러스는 1953년 인체에서 적출한 구개편도와 아데노이드에서 조직배양을 통해 발견한 바이러스입니다. 특히 어린이에게 흔하게 발생하므로 어린이집 보내는 부모님들은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호흡기 감염, 결막염, 소화기질환(위장관 장애) 등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입니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과 일반 감기의 차이가 있습니다.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눈곱이 많아지고 눈이 충혈되는 결막염을 동반해서 눈곱 감기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경로

 

아데노바이러스는 주로 기침 또는 재채기로 인한 호흡기 분비물(비말)을 통해 전파됩니다.
또한, 아데노바이러스는 공기 중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살아있기 때문에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충분히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감염경로를 3가지로 요약하자면,
1. 호흡기 분비물
앞서 서두에 설명한 주된 감염 경로입니다.


2. 접촉으로 인한 감염
비말로 인해 감염된 물체나 표면을 만져 감염된 손을 통해 입,코,눈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됩니다. 


3. 눈을 통한 전파
접촉감염과 거의 유사하지만 눈을 통해 전파될 경우 결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어렸을 때 학교에서 눈병 걸린 친구를 보면 조퇴하기 위해서 친구의 눈을 만지고 본인 눈에 비비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요. 이런 모습을 떠올리시면 이해하기 편할 겁니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증상


잠복기는 7~10일로 알려져 있으며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상기도 감염 증상: 기침, 콧물, 인후통
2. 결막염
3. 소화기계 감염 증상: 구토, 복통, 설사 
4. 38도 이상의 고열

 

치료 방법


아데노바이러스는 바이러스이므로 특별한 치료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병원을 방문하더라도 증상관리에 초점을 두어 기침억제제, 해열제, 항히스타민제, 결막염이 동반되는 경우 안약까지 처방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탈수 방지를 위해 수분 보충은 수시로 해주셔야 하고 건조하여 코막힘이 심해질 수 있으니 50~60% 습도 유지도 꼭 해주세요.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은 충분한 휴식과 수분 보충으로 대부분 자연스레 회복되지만 호흡곤란 등 증상이 심해지거나 고열이 지속될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감염 예방수칙

1. 올바른 손 씻기 생활화
2. 기침 예절 실천
3. 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 만지지 않기
4. 식기, 수건, 칫솔 등 개인 물품 공유하지 않기


끝으로

아데노바이러스는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들에게 발생하며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동체 생활을 하는 곳에서 크게 유행합니다. 그렇기에 우리 아기가 아데노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면 가능한 어린이집에 안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혹시나 우리 아기 때문에 어린이집에 바이러스가 퍼졌다는 얘기를 들을 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반드시 격리해야 하는 법정 감염병도 아니고 각 가정의 상황이 다르기에 유연하게 행동해 주시면 됩니다.